항해99

[항해99 TIL] 1일차 - 시작.

Luke_look 2023. 6. 2. 22:50

TIL(today i learning)을 매일 써본 적이 없지만 이 기회에 루틴으로 박아두고 싶습니다. 그러나 이미 하루가 지났고 하루에 이틀치를 올릴려고 합니다.

 

 일단 블로그를 운영 중인데 워낙 잡다한게 많아서 아마 이 블로그로 새로 시작할 것 같습니다. 욕심으로는 에드센스 붙혀서 운영하고 싶은데 내일 답변들어야 할 것 같습니다.

 

오늘 배운 것에 대해 하나하나 포스팅 해보겠습니다.

 

1. 1주차

 

사실 개발 언어를 python으로 시작하였고 html/css는 블로그 꾸미기 정도로만 사용해서... 이번에 제대로 개념잡고 가는 것 같습니다.

 

1) 웹 브라우저

  • 기본적으로 브라우저에 요청 전송
  • 브라우저가 받은 HTML로 구현

2) HTML & CSS

  • HTML은 뼈대
  • CSS는 꾸밈

3) HTML의 시작

  • VS에서 소스 코드 작성 공간 html만 적어도 html 기본 뼈대 작성 가능

4) CSS의 시작

  • <head> ~ </head> 안에 <style> ~ </style> 로 적습니다.
  • CSS는 구글링만 잘해도 가능하다는 것으로 받아들임

5) 예제들

 

 

2. 2주차

 

1) JavaScript

  • 브라우저가 알아듣는 언어, 규약 같은 느낌
  • 함수 만들어보기
function hey(){
	alert('안녕!');
}

여타 언어와 비슷

 

2) JQuery

  • JavaScript의 편의 기능. 라이브러리임
  • 단순 비교로
document.getElementById("temp").style.display = "none";

$('#temp').hide()

 

3) JavaScript & JQuery 반복문

let alphabet = ['a', 'b', 'c']
console.log(alphabet[0])
console.log(alphabet[1])
console.log(alphabet[2])

이래야 하는 것을

let alphabet = ['a', 'b', 'c']
alphabet.forEach((a) => {
	console.log(a)
    })

짧게 만들었습니다.

 

3. 서버-클라이언트

 

1) 클라이언트 -> 서버: GET 요청

  • GET : 데이터를 조회
  • POST : 생성, 변경, 삭제 등 변화를 요청할 

 

2) fetch

  • fetch 기본 구조
fetch("url")
	.then(res => res.json())   //then은 요청 받고 할 행동 //통신 받은 데이터를 json형태로 컨트롤
    .then(data => {console.log(data)}) // json으로 바뀐 데이터를 data라는 이름으로 사용

 

나머지는 실제 코드로 봐야함

 

[오늘의 한줄]

 시작이 반이다